카테고리 없음

가트너(Gartner)의 2021년 전략 기술 트랜드②

세상다반사 2021. 2. 28. 17:42

지난 가트너의 기술 전략 트랜드의 10가지 트랜드를 정리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트랜드1 : IoB(Internet of Behaviors)

 

행동 인터넷(IoB)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행동을 변경하도록 하기위 해서는 가종 생활속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트너에서는 일상속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먼지(Digital Dust)라고 지칭합니다. 디지털 먼지는 우리의 생활 속에 있습니다.  공공 시민 데이터, 위치 데이터, 소셜 미디어 데이터 등을 포함합니다.

 

최근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유행하고 있는 단어 중 하나인 시빅해킹(Civic Hacking)이라는 단어 처럼 생활 속의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상을 변화시키는 사례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용어 처럼 최근 행동 인터넷(IoB)의 주변 사례는 곳곳에 존재합니다.

 

 

IoB를 통해서 목표에 따라 세상의 윤리와 사회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건강 보험 회사가 보험료를 줄이기 위해 신체 활동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Wearable)을 장비를 통해 식료품 구매 내역을 추적하는 데 사용합닌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유사한 사례인 AIA의 바이탈리티가 있다. AIA 바이탈리티는 보험 가입자가 보험료 경감 방안으로 하루 만(10000)보 이상의 산택을 유도하게 하여 산택을 완료하면 보험료 혹은 할인 쿠폰을 제공하여 가입자 건강한 활동을 독려하고, 보험 지출 비용을 감소하는 윈윈(Win-Win) 전략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트랜드 2 : 총체적 경험(Total experience)

 

총체적 경험은 다중 경험, 고객 경험, 직원 경험 등을 통합하여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고객의 전반적인 경험을 혁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총체적 경험을 긴밀하게 연결하면 복제하기 어려워 비즈니스 경쟁 업체와 차별화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가트너는 한 통신 회사의 안전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체 고객 경험을 혁시하기 위한 한 사례를 언급합니다. 매장에 고객이 진입하였을 경우, 체크인 절차를 안내하고, 실제 입장할 수 있을 때까지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을 받도록 하여 상점에 들어가서도 사회적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19가 촉발 시킨 디지털 키오스크를 수요와 입장 시 비접촉 체온 측정 QR 출입 절차 등을 통해 경험을 개선해 갈 수 있습니다.

 

최근 카카오톡, 네이버 앱에서 QR 체크인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Experience)를 개선할 수 잇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플랫폼 기업들의 의존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트랜드 3. 개인정보 강화 컴퓨팅(Privacy-enhancing computation)

데이터가 사용되는 동안 데이터를 보호하는 세가지 기술을 특징으로 합니다.

 첫째,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분석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환경을 제공

 둘째,  분산된 방식으로 처리 및 분석을 수행

 셋째, 처리 또는 분석 전에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암호화

 

 

이러한 환경의 제공은 조직은 기말성을 유지하면서 지역 및 경쟁 업체와 안전하게 리서치와 공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보인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공유해야하는 필요성 증가의 상황을 고려하여 설계 되었습니다.

 

최근 많은 국가에서 프라이버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강화는 법률적인 강화를 의미하며 한국의 개인정보보호법, 유럽의 GDPR,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 뿐만 아니라 각 나라별로 프라이버시 법률 입법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의 가장 중요한 이슈는 역외이전(Cross border Transfer) 이슈가 화두입니다.

 

현대의 기업의 비즈니스는 한 국가에만 종속되는 것이 아니며, 전세계를 기준으로 다양한 비즈니스를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에 대한 이슈는 항상 존재합니다. 기업에서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을 해결해줄 수 있는 솔루션을 요구하고 있으며,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