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 D.N.A 생태계 강화②
어제 시리즈에 이어 2번째 시리즈인 D.N.A 생태계 강화②를 통해 트랜드를 정리하고자 한다.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 제조)
미래 유망 산업(미래차, 스마트홈 등)과 연계한 시스템반도체 설계 및 제조기술 확보
- 예산 : 4277억
- 주요 하위 사업
2-1. 시스템반도체 상용화 설계
2-2. 반도체 제조공정 기술 개발 - 기간 : 2020.1 ~ 2026.12
국가표준기술개발 및 보급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 신산업, 코로나시대 비대면 서비스 및 K-방역모델 등 국제표준 개발 촉진을 통한 표준화 역량 강화
- 예산 : 373억
- 주요 하위 사업
2-1. 표준화 연구 개발
우리 기술의 신뢰성제고를 통한 세계시장 선점 및 국제표준화 활동 리더십 활대 등을 위해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 개발
2-2. 표준 기반 조성
우리 기술 제품의 국제표준 개발 및 전반적인 표준화 활동 지원을 위한 표준화 기반 조성 - 기간 : 2021.3 ~ 2021.12
ICT융합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제조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중소, 중견 제조깅버을 대상으로 기업의 도입수요에 맞는 스마트 공장 구축을 지원
공장 보급 목표 : '22년까지 30,000개 구축
- 예산 : 4000억
- 주요 하위 사업
2-1. 스마트 공장 구축
2-2. 스마트 공장 고도화1
2-3. 스마트 공장 고도화2 - 기간 : 2021.3 ~ 2021.12
스마트 항만-자율운항선박연계 기술개발(R&D)
자율운항선박이 항만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입항 또는 출항할 수 있도록 육상과 연계된 자동화 지능화 시스템 개발
- 예산 : 299억
- 주요 하위 사업
2-1. 자율운항선박 도선 지원 및 자동계류 시스템 개발
2-2. 스마트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개발
2-3. 영상인식기술기반 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개발
2-4. 자율운항선박 제어/관제 기술 개발
2-5 자율운항선박 육상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2-6 자율운항 선박 전기추진 시스템 디지털 트윈 기술 개발 - 기간 : 2021.4 ~ 2025.12
수산물 시선유통 스마트 기술개발(R&D)
국민 수산물 먹거리 안전 확보를 위한 어획수산물 중심의 유통 위생 안전체계를 구축하고 수산물 유통 현안해결 및 수산식품 가공공정 기술 개발
- 예산 : 362억
- 주요 하위 사업
2-1. 신선유통 표준화 기술 개발
2-2. 수산물 유통 현안해결 기술 개발
2-3 수산식품 스마트 가공 기술 개발 - 기간 : 2021.4 ~ 2021.12
(마무리)
이번 관련 사업에서 주요 토픽은 차세대지능형반도체 기술 개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사업이 핵심 사업이다.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에게 적지않은 금액을 지원하여 차세대 지능형반도체를 기발하고,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을 목표로한다.
스마트 팩토리의 경우 생각보다 많은 필드 디바이스(Field Device)를 자동화 및 센서화를 시켜 많은 수의 정보를 수집하여 수율 향상,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현재 혹은 미래의 고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세대지능형반도체 또한 이번 소부장 시절 나온 정책과 차이는 없으나, 해당 반도체는 아무래도 AI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산업에서 쓰이는 반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차량용 반도체 부족 사태로 완성차 업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아래는 주요 최근 헤드라인을 첨부한다.
- 미 백악관, 차량용 반도체 부족 해결 위해 전면 나서/연합뉴스
- 미 한파에 글로벌 반도체 공장 '셧다운' / 서울경제
- 가뜩이나 반도체 부족한데...북극 된 텍사스 삼성공장도 멈췄다 / 중앙일보
- 코로나 여파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줄어/SBS
이렇듯 다양한 공급망의 어려움 속에서도 이를 대비할 수 있는 기업들의 BCP(Bussiness Contigency Planning)이 필요하며, 이렇듯 정부 정책 또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