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뉴딜4

디지털 뉴딜 - SOC 디지털화 디지털 뉴딜에서 SOC(Social Overhead Capital)의 디지털화는 더이상 토목 공사 중심의 SOC가 아닌, 디지털 인프라를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기존의 우리가 알고 있는 교통, 산업단지, 시험원 등의 다양한 오프라인 시설들이 디지털화 되어 디지털 교통체계(자율주행), 공정 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통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한다. 첨단도로교통체계 (국토부) 산업단지환경조성 (산업부) 5G 기반 디지털트윈 공공선도 (과기부) 지자체 ITS 국고보조 공모사업 한국판 뉴딜 'SOC 디지털화' 사업의 일환으로 도심부 도로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자율협력주행 지원을 위한 ITS 사업 추진(신호체계 개선, 주차정보 시스템 , 스마트 CCTV와 같은 첨단 ITS 인.. 2021. 2. 21.
디지털 뉴딜 - D.N.A 생태계 강화② 어제 시리즈에 이어 2번째 시리즈인 D.N.A 생태계 강화②를 통해 트랜드를 정리하고자 한다.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설계, 제조) 미래 유망 산업(미래차, 스마트홈 등)과 연계한 시스템반도체 설계 및 제조기술 확보 예산 : 4277억 주요 하위 사업 2-1. 시스템반도체 상용화 설계 2-2. 반도체 제조공정 기술 개발 기간 : 2020.1 ~ 2026.12 국가표준기술개발 및 보급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 신산업, 코로나시대 비대면 서비스 및 K-방역모델 등 국제표준 개발 촉진을 통한 표준화 역량 강화 예산 : 373억 주요 하위 사업 2-1. 표준화 연구 개발 우리 기술의 신뢰성제고를 통한 세계시장 선점 및 국제표준화 활동 리더십 활대 등을 위해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 개발 2-2. 표준 기반 조성.. 2021. 2. 18.
디지털 뉴딜 - D.N.A 생태계 강화ⓛ 디지털 뉴딜 관련하여, 조금 더 정리된 자료를 제공하여 전문적인 포스팅의 수를 조금이라도 늘리고자 이렇게 지난 소개 시리즈에 이어 이번에 첫 주제인 D.N.A 생태계 강화 1탄을 요약해서 포스팅 하고자한다. 본 D(Data).N(Network).A(AI) 섹션은 크게 4가지 주제로 나뉜다. 빅데이터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NIA) 학습용 데이터 구축 (NIA) 5G 융합 서비스 발굴 및 공공 선도 적용 (NIA) 데이터 기업매칭 지원 사업(NIA) 빅데이터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주요 산업군 : 금융, 통신, 환경, 유통소비, 헬스케어, 문화, 교통, 지역경제, 중소기업, 산림, 소방안전, 스마트치안, 해양수산, 농식품, 라이프로그, 디지털산업 혁신 예산 : 150억 주요 하위 사업 2-1. 빅데이.. 2021. 2. 17.
디지털 뉴딜 - 관계부처 합동으로 사업설명회 개최 금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디지털 뉴딜 사업 설명회를 최초로 개최했다. 이러한 사업설명회는 언택트 방식인 유투브, 카카오TV에서 생중계 되었으며, 주요 대상으로 정부 부처 관계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근 진행한 디지터러 뉴딜 사업 설명회 이후, 관계부처 합동 사업 설명회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정부에서 디지털 뉴딜을 신경쓰고 있다는게 반증된다고 생각한다. 최근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다음과 정부의 트랜드를 알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이트에 접속하여정기적으로 들어가서 변화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뉴딜(https://digital.go.kr) AIhub(https://aihub.or.kr)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https://nia.or.kr) 만약 정기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면, K회사원의 일상다반사 블로그에서.. 2021.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