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디지털 뉴딜 - D.N.A 생태계 강화ⓛ

by 세상다반사 2021. 2. 17.

디지털 뉴딜 관련하여, 조금 더 정리된 자료를 제공하여 전문적인 포스팅의 수를 조금이라도 늘리고자 이렇게 지난 소개 시리즈에 이어 이번에 첫 주제인 D.N.A 생태계 강화 1탄을 요약해서 포스팅 하고자한다.

 

본 D(Data).N(Network).A(AI) 섹션은 크게 4가지 주제로 나뉜다.

  • 빅데이터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NIA)
  • 학습용 데이터 구축 (NIA)
  • 5G 융합 서비스 발굴 및 공공 선도 적용 (NIA)
  • 데이터 기업매칭 지원 사업(NIA)

빅데이터 플랫폼 및 네트워크 구축 

 주요 산업군 : 금융, 통신, 환경, 유통소비, 헬스케어, 문화, 교통, 지역경제, 중소기업, 산림, 소방안전, 스마트치안, 해양수산, 농식품, 라이프로그, 디지털산업 혁신

 

  1. 예산 : 150억
  2. 주요 하위 사업
     2-1. 빅데이터 센터 : 5억 씩 30개 사업 (21년 5억, 22년 3억, 23년 2억)
     2-2. 가명 정보 결합 컨설팅 37.5억원
  3.   기간 : 2021.3 ~ 2021.12

[그림 1. 빅데이터 플랫폼 센터 현황]

 

 * 해당 사업에 관심이 있을 경우, 빅데이터 구축 센터를 통해 1차 사업 금이 지금 될것으로 생각되며, 해당 센터에서

   데이터 활용 기업을 발굴하고 우수사례 확보

 

 * 특히 가명 정보 결합 컨설팅의 경우, 총 사업 금액 37.5억으로 해당 수요 기업들과 연계를 통해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 되며, 계약 맺은 업체에서는 수요 기업에서 요청이 오면 컨설팅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임

  > 해당 컨설팅의 경우 최근 데이터3법 개정과, 가명 정보 결합 데이터 활용이 주요 화두고 되어 있음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

 코로나 19로 인한 경제극복 위기를 위한 일자리 제공 역할과 크라우드 소싱 중심의 일자리 창출로 현재의 위기를 타계

 

  1. 예산 : 2925억원
  2. 주요 하부 사업
    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21년 150종 데이터 구축)
    2-2. 인공지능 허브를 통한 데이터 활용 기반 조성 (Aihub.or.kr 사이트 활성화)

    2-3. 클라우드 소싱 적용으로 일자리 창출
  3. 기간 : 2021.3 ~ 2021.12

* 특히 과제 공모를 통해 150종 데이터 수행 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며, NIA와 협약을 체결한후 전반적인 사업이 수행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규모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곳은 크라우드웍스라고 판단됨

 

 

5G 융합 서비스 발굴 및 공공 선도 적용

비대면 서비스 확산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응하여 5G 융합서비스 공공부문 선도 적용을 통해 5G 산업 생태계 조성

 

  1. 예산 : 400억원
  2. 주요 하부 사업
    2-1. 융합서비스 모델 실증
    2-2. 5G MEC 소규모 실증
  3. 기간 : 2021.1 ~ 2021.12

 *특히 5G 분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서비스를 만들려는 정부의 목표가 보이며, 5G 기반 생테계를 조성하여 많은 산업군에 디지털 전화를 도모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공공데이터 기업 매칭 지원 사업

공공데이터 구축 가공이 필요한 공공기관에 민간기업을 매칭하고 예산 지원을 통한 공공 데이터 개방 추진

 

  1. 예산 : 400억원 (과제별 약 2억월)
  2. 주요 하부 사업
    2-1. 데이터 구축, 품질 정비
    2-2. 데이터 가공, 개선
  3. 기간 : 2021.1 ~ 2021.12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과 유사한 사업으로 판단되며, 다만 이러한 데이터 에이전시를 통한 데이터 수요 기업, 정부 사업 주관 부서, 데이터 공급 기업과의 3각형의 구조로써 데이터 수요 기업이 지불해야할 돈을 데이터 공급기관에 제공해주는 사업 구조로 판단됨

 

 

(마무리)

4가지 사업을 통해 금번 포스팅에서 가장 수혜를 받는 기업은 데이터 가공을 중개하는 크라우드소싱기업으로 판단된다. 현재 크라우드웍스에서는 데이터 레이블러라는 명칭으로 워커(Worker)를 양성하고 있으며, 수치상으로 폭발적인 성장과 정부의 수혜를 업은 형상으로 판단 된다.

 

정부에서 이러한 데이터 레이블러를 양성하고 그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것은 단기가 일자리로 판단되나, AI 산업에서 이러한 노동(인형 눈깔 붙이기)은 어쩔 수 없는 공급 사슬이라고 생각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