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한 WTO의 지재권 면제와 백신 스와프이야기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의 백신 확보 노력에 대해 이야기 한적이 있다.
험난한 WTO 지재권 면제를 통한 코로나백신 생산 확대
조바이든 대통령 정부의 출범 이후 본격적으로 미국 동맹 재건에 힘쓰고 있다. 그 사건의 대표적인 2020년 정부 출범과 동시에 조바이든은 "미국이 돌아왔고 세계를 주도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secucon.tistory.com
원할한 백신 공급을 위한 백신 스와프
백신 스와프에 대한 아이디어는 통화스와프에서 시작된다. 통화스와프(Currency Swap)는 통화를 직접적으로 거래하는 방식으로 단기적인 통화 흐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이 방식을 활용한다. 통화
secucon.tistory.com
우리나라에서 mRNA 백신 생산 환경이 구성 되지 않아, 생산에 차질이 있다는 이야기를 전한바 있다. 또한 모더나의 한국 생산기지 설립을 위한 움직임 등을 보았을때, 미국에서 아시아 백신 생산 기지를 한국을 선정하려고 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현재 많은 제약사에서 복제약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인도에 이어 한국의 약품 생산 능력은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이번 빅딜의 주제는 백신, 반도체, 배터리에 대해 향후 나라의 국운이 걸린 한판이 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백신 · 반도체 · 배터리…'워싱턴 빅딜' 벌어진다
다음 주 한미정상회담에 맞춰서 우리와 미국의 경제계 사람들이 미국 워싱턴에 모입니다. 백신과 반도체, 배터리 문제를 논의할 기업의 CEO들입니다.
news.sbs.co.kr
바이든 정부 출범이후 진행되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아마다 그동안 소문으로 무성했던 백신 스와프 대신 백신허브가 아마 화두가 될 것이고,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기업 삼성과 SK 기업인들이 함께 출국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의 예상의제는 다음과 같다.
韓 ‘B·B·C 경협’ 카드로 美와 백신동맹-쿼드협력 조율할 듯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이 5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회담의 주요 의제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한국이 필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
www.donga.com
이중 현재 가장 원할하게 협의하고 있는 주제는 반도체, 백신, 배터리이다.
특히 SK와 삼성은 이과정에서 노바백스와 모더나 생산을 통해 기술이전 및 생산 물량을 확보하는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 과정에서 삼성은 대규모 반도체 투자 계획과 SK의 배터리 투자 계획등을 통해 상호 거래하는 방식으로 빅딜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현대차와 LG의 기업에서도 생산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제에서 백신 파트너십과 백신스와프 모두 잡고, 투자계획을 통해 향후 미래 기업가치 또한 키울 수 있는 빅딜이 되기를 바란다.
최근 매주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이 인천 공항에서 수입되는 과정이 매끄럽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미국에서 백신 관련한 협력들이 긍정적으로 이루어 지는게 아닐까 싶다.
[대만 뉴스] '방역 모범국' 대만, 코로나 확산…지역 감염 29명 추가/ 차이잉원 "대만 자체 개발 백
* 이제 대만의 경쟁력을 확인을 해 봐야 하는 시간, 그리고 자체 백신 개발 7월 말 공급 시작, 대만의 경쟁...
blog.naver.com
최근 대만 사태를 통해 결국 지속적인 방역과 백신 접종을 통해서만 코로나19를 관리할 수 있다고 본다.
이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쿼드 가입에 대해서 어떤식으로 대비할 수 있는지 걱정이되지만 이번 정부의 외교 능력을 믿어 본다.
문대통령 "美 방문, 백신생산 글로벌허브 계기 삼겠다"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하는 것과 관련해 "백신 협력을 강화하고 백신...
www.yna.co.kr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부동산을 소유할 수 있는 빌딩 투자 (0) | 2021.05.16 |
---|---|
해양 재건의 꿈 부활 해운업 (HMM) (0) | 2021.05.12 |
지구를 지키는 친환경 플라스틱 (0) | 2021.05.03 |
삼성가 이건희 회장의 컬렉션 (0) | 2021.04.29 |
FTA 뿐만 아니라 DEPA(디지털경제파트너십계약) (0) | 2021.04.28 |
댓글